제목 |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 ||||
---|---|---|---|---|---|
출처 | 식의약안전팀 | ||||
품목 | 의약(외)품 및 의료용품 | ||||
조회수 | 608 | ||||
게시일 | 2017.12.27 | ||||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 전신두드러기·안면부종 등 중등증 이상 위해사례가 70% 차지 - 건강보험 급여 확대, 개인 건강검진 증가 등으로 조영제* 사용이 늘어나면서 관련 위해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조영제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문의약품인 탓에 소비자의 주의만으로는 사고예방이 어려워 소비자 안전확보를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조영제 투여 전 부작용 발생 여부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피부반응 검사* 등 사전검사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 * 소량의 조영제를 피부에 주입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검사법 아울러 조영제는 제품에 따라 상이한 삼투압·점도·친수성을 갖고 있어 개인의 체질에 따라 부작용 발생 여부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일선 병원에서는 복수의 조영제를 구비하고 환자에 따른 적절한 제품 선택이 중요하다. □ ‘방사선사’가 조영제 투여 했다는 응답이 절반을 차지 금번 설문조사 결과, ‘병원에서 조영제투여와 관련한 설명이 없었다’ 14.0%(14명), ‘조영제 투여와 관련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소비자도 20.0%(20명)에 달해 조영제 투여와 관련한 일선 병원의 소비자 정보 제공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50명)는 검진 당시 조영제 투여자가 의료인이 아닌 방사선사라고 답변하였다. 과거 법원에서 방사선사의 조영제 투입은 위법한 의료행위라고 판단한 사례*도 있었다. * 2015고단5624(부산지방법원) 판결로 현재 2심이 진행 중에 있음. 위법 논란 해소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의사가 환자 각각에 대한 투여 용법·용량을 처방한 상황이라는 전제하에 방사선사의 오토인젝터* 조작을 통한 조영제 투여는 가능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조영제 투여 중에 심정지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고위험군인 환자의 경우 시술 중에 언제라도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관련 규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조영제 자동 주입기로 정량의 조영제를 정확한 시간과 압력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장치 □ 조영제 부작용 정보 확인 방안 마련 필요 소비자가 조영제 부작용을 경험한 이력이 있어도 타 병원 방문 시 해당 병원은 당시 투약한 조영제·응급처치 이력 등의 정보를 정확히 알기 어렵다. 따라서 투여기록 및 부작용 발생 이력 발급 등 조영제 관련 부작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 (해외사례) 독일·대만 등에서는 개인별 건강보험 IC카드에 의약품 알레르기 및 검진정보 등이 저장되도록하여 부작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선 병원에 ▲복수의 조영제 구비 ▲소비자의 부작용 정보를 고려한 제품 선택을 권고했고, 관계부처에는 ▲사전검사 등 안전사고 예방 방안 ▲조영제 투여에 대한 정부 가이드라인 ▲의료기관 간 환자의 부작용 정보 확인 방안 등을 마련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
파일 |
![]()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766 |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 |
위해분석팀 | 2018.03.27 | 253 |
765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
식의약안전팀 | 2018.03.16 | 359 |
764 |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 |
제품안전팀 | 2018.02.27 | 1621 |
763 |
테이크아웃 원두커피, 카페인 함량 정보제공 필요
![]() |
식의약안전팀 | 2018.02.06 | 1803 |
762 |
고속도로 주행 광역버스 안전띠 착용률 매우 낮아
![]() |
생활안전팀 | 2018.02.06 | 1679 |
761 |
고층건물에 설치된 노인요양시설, 긴급피난 어려워
![]() |
생활안전팀 | 2018.02.02 | 1707 |
760 |
스키장 이용시 안전모 등 보호장구 착용 필요
![]() |
위해분석팀 | 2018.01.31 | 1645 |
759 |
자동심장충격기 관련 의무교육·설치 확대 필요
![]() |
생활안전팀 | 2018.01.30 | 1610 |
758 |
해외 직구 시 리콜제품 여부 확인 필요
![]() |
위해관리팀 | 2018.01.29 | 2834 |
757 |
향초·인센스 스틱 사용시 실내 공기 오염 우려 있어
![]() |
제품안전팀 | 2018.01.26 | 1690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