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가구 및 가구설비 위해정보 처리속보 상세보기
제목 대진침대 라돈 검출 매트리스 관련 안내
품목 가구 및 가구설비
출처 위해관리팀
조회수 8576
작성일 2018.05.09
파일 pdf 파일180611_대진침대 라돈 검출 매트리스 관련 안내.pdf
hwp 파일180611_대진침대 라돈 검출 매트리스 관련 안내.hwp
대진침대 라돈 검출 매트리스 관련 안내

 

  최근 대진침대가 제조·판매한 침대 매트리스에서 폐암을 유발하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었다는 내용이 SBS 뉴스를 통해 보도(2018.5.3.)된 바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음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품에 도포한 음이온 파우더의 원료인 '모나자이트'에서 라돈ㆍ토론 등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제조 과정에서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10년 이후 제조 대진침대 매트리스 24종 모델, ’10년 이전 단종된 2개 모델 및 특판모델을 조사한 결과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의 가공제품 안전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어 대해 수거, 폐기 등의 행정명령을 실시하였습니다.

  대진침대 제품을 사용 중이신 소비자께서는 원안위 홈페이지 (http://www.nssc.go.kr)를 통해 구체적 모델명 등 자세한 사항을 확인 후, 즉시 대진침대(02-538-2800/041-587-3500/1544-4475)로 연락하여 회수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해당 제품으로 인한 인체피해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구입사실 및 발생손해를 증빙할 수 있는 자료를 구비하신 후, 국번 없이 1372 또는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의 인터넷상담을 통해 소비자상담을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 대진침대(주) 매트리스 관련 Q&A(원안위 제공)

< 대진침대(주) 매트리스 관련 Q&A(원안위 제공) >
 
1. 기준치 초과로 확인된 모델을 사용(보관)하고 있는 사람들은 회수(리콜)하기 전까지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ㅇ 현재까지 조사결과에서 침대로 인한 피폭선량이 기준치 초과(1 mSv)로 확인된 모델은 그린헬스2, 네오그린헬스, 뉴웨스턴슬리퍼, 모젤, 네오그린슬리퍼, 웨스턴슬리퍼, 벨라루체, 파워그린슬리퍼플래티넘, 그린슬리퍼, 프리미엄웨스턴(슬리퍼), 파워트윈플러스, 로즈그린슬리퍼, 프리미엄파워그린슬리퍼, (파워그린슬리퍼)라임, 아이파워플러스슬리퍼, 아이파워그린, 아르테, 파워플러스포켓, 파워그린슬리퍼R, 그린헬스1, 파워그린슬리퍼힙노스, 아르테2, 폰타나, 헤이즐, 트윈플러스, 에버그린 등 27개 모델입니다.

- 동 모델을 가정에 보유하고 계신 분들은 회수조치가 완료되기 전까지 제품 사용을 중단하시고, 별도의 장소 또는 비닐커버 등을 씌워서 보관해주시기 바랍니다.

ㅇ 제품의 사용에 따른 실제 피폭양은 개인의 생활패턴이나 노약자, 환자 등 처한 환경에 따라 다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ㅇ 일단 금번 평가는 아무것도 깔리지 않은 매트리스 위 2cm에서의 라돈 및 토론 농도로 10시간동안 호흡한 것을 가정한 것이며, 시트와 침대 패드를 까는 경우 피폭양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 기준치 초과 방사선피폭이 확인된 대진침대를 장기간 사용했을 경우, 피폭에 대한 상담 등은 어디에서 받을 수 있나요?
ㅇ 피폭선량 및 인체 영향과 관련한 자세한 의료상담은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서울 공릉동 위치)로 문의하시면 정확하고, 전문적인 의료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연락처 : 1522-2300
 
3. 샘플 조사를 위해 우리 집 침대를 보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ㅇ 현재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조사하지 못한 모델의 샘플수거 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수거 계획을 원자력안전기술원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하고 계획에 따라 접수를 받을 예정입니다.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홈페이지 : www.kins.re.kr

ㅇ 다만, 이번 샘플수거는 매트리스의 안전 여부 확인을 위해 필요한 일부 모델 및 수량에 한정하여 진행 될 예정임을 알려드리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 현재 기준 확보가 필요한 모델은,
- 그린슬리퍼2, 멀티그린(멀티그린슬리퍼), 월드슬리퍼, 울트라슬리퍼, 헬스닥터슬리퍼, 그린플러스2, 그린플러스슬리퍼, 미라코일슬리퍼 등입니다.
 
4. 가정집에서 측정한 값과 실험실에서 측정한 값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 않나요?
ㅇ 이번에 측정된 피폭선량은 매트리스에 의한 피폭선량만을 측정하기 위해 배경준위를 제외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가정집이든 실험실이든 환경에 무관하게 매트리스가 기여한 선량만을 측정한 값입니다.

ㅇ 또한, 보수적으로 침대에 엎드려서 잘 경우를 감안하여 매트리스 2cm위에서의 연간 내부피폭선량을 측정하였습니다.
 
5. 원안위가 수거 명령 등 행정조치를 하면 향후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ㅇ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 제17조 등에 따라 결함 가공제품에 대해 원안위는 제조업자에 아래와 같이 조치하게 됩니다.
 
절차도

【 참 고 】 결함 가공제품의 처리 절차
①사전통지(영 제8조제1항) → ② 3일이내 의견진술(영 제8조제1항) → ③사실공개·조치 명령(법 제17조제1항) → ④조치계획 수립, 원안위 보고(영 제7조제1항) → ⑤보완명령/승인(제7조제2항) → ⑥조치계획 승인 → ⑦3개월이내 조치, 1회 연장가능(영 제8조제3항) → ⑧ 조치결과 검토(필요시 보완지시)

ㅇ 원안위는 이러한 조치과정에 있어서 안전성과 적합성을 철저히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6. 라돈과 토론은 무엇이고 구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ㅇ 라돈(Rn-222)과 토론(Rn-220)은 모두 라돈(Rn)의 주요 핵종입니다.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라돈(Rn-222)은 우라늄(U-238)이 붕괴되어 생성되며 반감기는 3.8일입니다. 토론(Rn-220)은 토륨(Th-232)이 붕괴되어 생성되며 반감기는 55.6초입니다.
* 반감기 : 방사성핵종의 에너지가 반으로 줄어드는 기간

ㅇ 라돈과 토론을 구분해서 측정하는 이유는 물리적인 성질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라돈과 토론이 같은 농도인 경우 라돈에 대한 인체의 영향이 더 크며, 토론의 경우, 반감기가 짧아 발생원(침대 등)에서 조금만 떨어져도 영향이 급격하게 줄어듭니다.
 
7. 내부, 외부피폭을 나눠서 설명하고 있는데, 내·외부피폭이 무엇이나요? 내부피폭이 더 위험한건가요?
ㅇ 방사선이 우리 몸에 노출되는 것을 ‘방사선피폭’이라고 합니다.

ㅇ 외부피폭은 X-레이 촬영과 같이 우리 몸 밖(피부)에 있는 방사선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하며, 내부피폭은 호흡기, 음식물, 상처 등을 통해 우리 몸 안에 유입된 방사선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방사능 피폭이 인체에 미치는 건강상 영향의 정도는 내부, 외부피폭에 상관없이 방사선량의 값에 비례합니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출처 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총 게시물 55 페이지 1 / 6
게시물 검색
가구 및 가구설비 위해정보 처리속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55 질식 위험이 있는 Love Our Home 유아용 침대 범퍼 판매차단 안내 위해관리팀 2025.06.18 47
54 낙상 및 부상 가능성이 있는 Blissful-Time 유아용 스툴 판매차단 안내 위해관리팀 2025.05.29 129
53 긴 조절끈으로 어린이 사고 위험이 있는 블라인드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5.04.03 330
52 실수로 못이 발사될 가능성이 있어 부상 위험이 있는 Kamsin 네일건 hot 위해관리팀 2025.02.20 307
51 손가락을 다칠 수 있는 콜맨 접이식 간이침대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11.25 554
50 낙상 위험이 있는 Delta 욕조 난간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11.12 426
49 끼임 및 질식 위험 있는 Ceither 휴대용 침대 레일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11.04 384
48 안정성이 미흡한 유아 학습용 의자 스탠드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07.15 640
47 끼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Medline 침대 난간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07.15 659
46 질식 위험이 있는 Chibebe 유아용 빈백 의자 판매차단 안내 hot 위해관리팀 2024.07.01 671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