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자동차 이용 중 손가락·머리 끼임 등 안전사고 주의
출처 위해분석팀
품목 자동차 및 관련용품
조회수 3658
게시일 2017.12.04
자동차 이용 중 손가락·머리 끼임 등 안전사고 주의
- 한국소비자원·국토교통부·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공동 캠페인 시행 -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교통사고 외에도 차량 이용 중 다양한 안전사고(이하 ‘비충돌사고’, non-crash incidents)*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비충돌사고의 발생 현황이나 사고의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 안전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 (비충돌사고) 주행 중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제외한 문·창문·트렁크 등에 끼이거나 부딪히는 사고, 승하차시 낙상사고, 차량 내 열사병 사고 등 차량 이용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 6개월간(2014. 1.~2017. 6.)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동차 비충돌사고는 총 3,223건*으로 연간 1,000여건 가까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년) 900건 → (’15년) 961건 → (’16년) 823건 → (’17년 6월) 539건

□ 전체 충돌사고의 90% 이상이 문·트렁크·창문에서 발생

  비충돌사고가 다발하는 차량구조를 살펴보면, ‘문’으로 인한 사고가 80.2%(2,585건)로 가장 많았고, ‘트렁크’ 7.6%(244건), ‘창문’ 2.3%(75건)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의 세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전체 비충돌사고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차량구조별 사고 유형은 ‘문‘과 ’창문‘의 경우 손가락 등이 끼이거나 눌리는 사고가 각 72.3%(1,868건), 77.3%(58건)로 가장 많았으며, ’트렁크‘의 경우 머리 등을 부딪치는 사고가 71.3%(174건)로 가장 많았다.

  손상증상은 타박상이나 열상(찢어짐)이 가장 많았지만, ‘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손가락 등 골절 사고(206건) 및 절단 사고(15건) 발생도 적지 않아 주의가 요구된다.

□ 비충돌사고의 절반 가량 어린이에게 발생

  비충돌사고의 약 절반(49.9%, 1,608건)은 만14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했으며, 승용차의 주 운행 계층인 ‘30대~50대’도 34.0%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의 경우, ‘문’(83.3%, 1,340건), ‘트렁크’(3.5%, 56건), ‘좌석’(3.1%, 49건) 순으로 비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에 비해 좌석에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빈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밖에도 ‘시거잭’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창문’ 틈에 목이 끼어 의식을 잃는 등 심각한 위해를 입는 경우도 있어 보호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 자동차 취급설명서의 비충돌사고 주의·경고 표시 개선 예정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 차량 5종의 취급설명서상 비충돌사고 관련 주의·경고 표시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의사항이 전혀 없거나, 있더라도 글씨가 작아 가독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국내 주요 자동차 제작사(기아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 한국지엠㈜, 현대자동차㈜)는 한국소비자원의 권고에 따라, 내년에 출시되는 신차의 취급설명서에 비충돌사고 경고 문구를 삽입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하기로 하였다.

□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 구성 및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한국소비자원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및 위 5개 제작사는 자동차 이용 소비자의 안전확보 등을 위한 상시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12월 4일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발족했다. 정례협의체 발족식에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 소장을 비롯한 자동차 제작사 각사의 임원이 참석해, 자동차 비충돌사고와 같은 자동차 시장의 위해요소 선제적 발굴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강화하는데 뜻을 모았다.

  아울러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와 함께 자동차 비충돌사고 예방 캠페인을 시행한다. 12월 4일부터 한 달간 교통안전공단 전국 자동차검사소 59개소 및 위 5개 제작사의 영업점, 서비스센터 등 3,716개소에 사고 위험성 및 예방방안 등을 담은 포스터를 부착하여 소비자의 안전인식 제고에 힘쓰기로 했다.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국내 자동차 제작사 정례협의체를 통해 자동차 시장의 자율적인 안전 확보 노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며, 아울러 국토교통부 등 유관기관과 함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공동 노력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팀장 최난주(☎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과장 이진숙(☎ 043-880-5422)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과장 김기백(☎ 043-880-5825)

 

파일 171204_자동차 비충돌사고_보도자료.pdf171204_자동차 비충돌사고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92 페이지 1 / 140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92 [안전 실태조사 결과] 핸디형 피부관리기, 과도한 자극 느껴질 경우 사용 중단해야 새글 식의약안전팀 2025.10.16 25
1391 한국소비자원-사업자정례협의체, 시각장애인 지원 확대 뜻 모아 새글 위해예방팀 2025.10.16 13
1390 [바디워시 품질비교 결과] 피지 세정력 전 제품 우수, 미세먼지 세정력은 차이 있어 새글 화학환경팀 2025.10.14 66
1389 [새치커버 제품 품질비교 결과] 쉽고 고르게 발라지는 정도와 색상 유지성능은 제품 간 차이 있어 화학환경팀 2025.10.02 68
1388 [아웃도어 에어매트 품질비교 결과] 캠핑용 에어매트의 내구성과 내장 펌프, 제품 간 성능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10.01 120
1387 무선청소기 흡입력, 파스칼(Pa) 단위 표기한 제품은 오인의 여지 있어 전기가전팀 2025.09.18 175
1386 [냉동 돈가스 품질비교 결과] 지방·단백질 함량과 맛 특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식품미생물팀 2025.09.18 109
1385 한국소비자원, 멀티탭 안전사고 예방 합동 캠페인 실시 위해예방팀 2025.09.11 126
1384 [소형 식기세척기 품질비교 결과] 건조성능·작동시간 등에 차이 있어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전기가전팀 2025.09.11 147
1383 [안전 실태조사 결과] 허브 오일 제품,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주의해야 식의약안전팀 2025.09.09 149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