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커피전문점 알레르기 유발 식품 주의 필요
출처 위해관리팀
품목 식료품/기호품
조회수 1865
게시일 2018.12.07
커피전문점 알레르기 유발 식품 주의 필요
- 7개 커피전문점 비포장 식품에 대해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하기로 -

  최근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음료뿐만 아니라 빵, 케이크 등 간단한 먹을거리를 판매하는 커피전문점이 늘면서 섭취 후 알레르기가 발생한 위해사례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되고 있다. 그러나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비포장 식품’은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대상이 아니어서 평소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어린이를 동반한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는 시스템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장점유율 상위 7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제과·제빵류 등 ‘비포장 식품’의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명을 매장과 홈페이지에 모두 표시한 업체는 1개에 그쳤다.
** 스타벅스, 엔제리너스, 이디야커피, 커피빈, 탐앤탐스, 투썸플레이스, 할리스커피(가나다순)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7개 커피전문점이 판매하는 ‘비포장 식품’에 대해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 계획을 수립하도록 권고했고, 해당 커피전문점은 올해 준비를 거쳐 2019년부터 알레르기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식품 알레르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 포함 여부를 확인한 후 구매하고 ▲본인의 알레르기 이력과 가족력을 알아두며 ▲알레르기 주요 증상 발생 시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등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사업자가 선제적으로 안전한 소비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팀    장 윤경천(☎ 043-880-58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조사관 김도윤(☎ 043-880-5827)

 

파일 181207_커피전문점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_보도자료.pdf181207_커피전문점 알레르기 유발 식품 표시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85 페이지 1 / 139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85 한국소비자원, 멀티탭 안전사고 예방 합동 캠페인 실시 위해예방팀 2025.09.11 41
1384 [소형 식기세척기 품질비교 결과] 건조성능·작동시간 등에 차이 있어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전기가전팀 2025.09.11 44
1383 [안전 실태조사 결과] 허브 오일 제품, 알레르기 유발성분에 주의해야 식의약안전팀 2025.09.09 73
1382 [소비자안전주의보] 멀티탭 오사용 시 화재 위험…어린이 사고 많아 보호자 주의 필요 위해예방팀 2025.09.08 73
1381 일부 로봇청소기, 카메라 사진 열람 등 보안 취약점 발견돼 제품안전팀 2025.09.04 111
1380 오르테·소베맘 젖병세척기, 전량 자발적 리콜 실시 위해관리팀 2025.08.28 162
1379 가열 조리 없이 바로 먹는 연어장ㆍ게장 위생관리 강화 필요 hot 식품미생물팀 2025.08.26 274
1378 [액션카메라 품질비교 결과] 여행·브이로그 필수품 ‘액션카메라’, 제품별 주요 성능 차이 커 hot 기계모빌리티팀 2025.08.25 577
1377 [액체형 세탁세제 품질비교 결과] 기름·단백질, 혈액·잉크 오염에서 세척 성능은 제품 간 차이 있어 화학환경팀 2025.08.07 204
1376 [유아용 냉감 침구 품질비교 결과] 접촉냉감·열조절·흡수성능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08.05 135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