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영농철, 농기계 이용시 안전사고 주의
출처 위해분석팀
품목 자동차 및 관련용품
조회수 3990
게시일 2017.04.27
영농철, 농기계 이용시 안전사고 주의
- 노후 농기계 점검·정비하고, 안전수칙 준수해야 -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이하여 각종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 농기계 사고, 이앙·파종기(5월)와 수확기(10월)에 많이 발생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농기계 관련 안전사고 총 847건을 분석한 결과, 농작물 이앙 및 파종이 시작되는 봄철부터 안전사고가 늘기 시작해 특히 ‘5월(100건)’, ‘8월(120건)’, ‘10월(151건)‘에 전체 사고의 절반 가까이(발생시기가 확인되는 824건의 45.0%)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SS, 통합DB)에 집계된 도로에서 발생한 농기계 교통사고 또한 2015년까지 3년간 발생한 총 1,436건 중 ‘5월’에 206건(14.3%)이 발생하여 가장 많았고, 이어서 ‘10월’ 169건(11.8%), ‘6월’ 166건(11.6%) 등의 순이었다.

 
월별 농기계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 발생 현황

□ 경운기·트랙터·탈곡기 순으로 많고, ‘눌림·끼임’, ‘추락’ 사고 주의해야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농기계는 ‘경운기’로 절반이 넘는안전사고 발생 농기계 현황 448건(52.9%)을 차지했고, 이어 ‘트랙터’ 62건(7.3%), ‘탈곡기’ 47건(5.5%), ‘건조기’ 46건(5.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유형은 농기계에 ‘눌리거나 끼이는 사고’가 318건(37.5%)으로 가장 많았고, ‘추락’ 194건(22.9%) 등으로 사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부주의 등이 주요 사고원인으로 분석됐다.

  증상은 ‘열상(찢어짐)’이 238건(31.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골절’ 136건(18.0%), ‘신체 내부 손상 및 통증’ 112건(14.8%), ‘절단’ 81건(10.7%) 등으로 중대한 손상도 빈번하게 발생했다.(위해증상이 확인되는 755건을 기준으로 분석)

  연령별로는 ‘70대’가 252건(30.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221건(26.7%), ‘50대’ 154건(18.6%) 등의 순으로 ‘60대 이상’이 대부분(64.7%)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농촌 현실이 반영됐다.(연령이 확인되는 827건을 기준으로 분석)

□ 10년 이상 노후화된 농기계 많고, 야간반사판 등 안전장치 부착도 미흡

  농촌마을 3곳(충북 소재)의 주행형 농기계 총 50대*의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용기간 확인이 가능한 농기계(46대)의 84.8%(39대)가 10년 이상 장기 사용으로 노후화되어 정기적인 점검·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운기 38대, 트랙터 11대, 콤바인 1대

  또한, 조사대상 농기계의 절반(25대)은 도로에서 야간 운행 시 후행 차량에게 전방 농기계의 존재를 알려주는 야간반사판이나 경광등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해질녘 이후 교통사고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미등, 방향지시등은 각각 54.0%(27대)가 부착되어 있지 않았고, 전체 경운기(38대) 중 57.9%(22대)는 구동벨트가 보호커버 없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손 끼임 사고도 우려되었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농업인들에게 ▲영농철 시작 전 반드시 농기계 상태를 점검하고 ▲작업에 따라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며 ▲주행형 농기계의 경우 전도·추락 및 교통사고에 유의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관련부처에는 야간반사판 등 등화장치 부착 지원과 농기계 사용법 및 도로교통법규 등 안전교육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팀장 최난주(☎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분석팀 조사관 손재석(☎ 043-880-5424)

 

파일 농기계 위해정보 분석_보도자료.pdf농기계 위해정보 분석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0 페이지 1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70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새글 섬유신소재팀 2025.07.03 23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63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78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82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84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156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53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식품미생물팀 2025.05.21 241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194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5.07 36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