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출처 식의약안전팀
품목 식료품/기호품
조회수 3016
게시일 2017.12.29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주의표시 의무화해야 -

  예로부터 벌꿀은 건강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고령자들이 즐겨 섭취하는 식품으로 최근에는 국산 및 수입산 제품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으나 일부 제품의 경우 품질·안전 관리가 필요하고 1세 미만 영아의 벌꿀섭취 금지 및 사양벌꿀*에 대한 소비자 정보 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설탕을 먹여 저장·생산한 꿀

  이는 한국소비자원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판매되는 벌꿀 30개 제품(국산 15개, 수입산 15개)을 대상으로 한 시험검사(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및 표시실태 조사결과로 밝혀졌다.
*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ydroxymethylfurfural, HMF) : 식품의 처리, 가공 또는 저장 중에 생성되는 화합물로 품질저하의 지표성분임. 벌꿀을 많이 가열할수록 다량 생성되며 벌꿀의 신선도를 평가하고 등급을 분류하는 척도로 사용되고 있음.

□ 일부 벌꿀 제품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기준 초과

  조사대상 벌꿀 30개 중 ‘마천농협 잡화꿀’(제조원: 마천농업협동조합)의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함량은 147.6㎎/㎏, ‘유기농아마존포레스트꿀’(제조원: Y.S.Health Corp./수입원: ㈜영신건강하이비)은 248.7㎎/㎏으로 기준(80㎎/㎏ 이하)을 각각 1.8배, 3.1배 초과하여 품질 상태가 저하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품명 제조원/수입원 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HMF)
(기준 : 80㎎/㎏ 이하)
유통기한
마천농협 잡화꿀 마천농업협동조합 147.6 2019.6.1
유기농아마존포레스트꿀 Y.S.Health Corp./
㈜영신건강하이비
248.7 2020.12.1

  또한, 6개 제품(20.0%)은 국내 기준(80㎎/㎏ 이하)에는 적합했으나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권고기준(40㎎/㎏ 미만, 열대지역의 경우 80㎎/㎏ 미만)을 초과했다. 국내 및 Codex 기준을 초과한 제품은 국내산이 15개 중 2개(13.3%), 수입산이 15개 중 6개(40.0%)로, 운송·통관에 장기간이 소요되고 수입량이 많아 판매기간이 길어지는 수입산 제품의 특성상 부적합률이 국내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주의표시 의무화 필요

  벌꿀의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균 오염으로 발생하는 ‘영아 보툴리누스증’은 1세 미만의 영아에게 신경마비 증상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인 위해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조사대상 30개 중 19개(63.3%) 업체는 제품에 영아 섭취금지 주의표시를 자율적으로 명기했으나 11개(36.7%) 업체는 표시하지 않았다. 보호자가 벌꿀을 건강식품으로 인식하여 영아에게 섭취시킬 경우 심각한 안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1세 미만의 영아에게 벌꿀 섭취를 금지하는 주의문구 표시 의무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조사대상 중 2개 ‘사양벌꿀’ 제품, ‘잡화꿀’로 소비자가 오인할 수 있어

  2개 제품[‘다드림 잡화꿀’(제조원: (주)다드림), ‘지리산뱀사골 잡화꿀 프리미엄’(제조원: 지리산뱀사골토종꿀)]은 사양벌꿀임에도 제품명에 “잡화꿀”이란 명칭을 사용하여 소비자가 동 제품들을 소지가 있었다.
 
· 아카시아꿀·밤꿀·잡화꿀 : 아카시아꽃, 밤꽃, 잡화꽃(여러가지꽃)을 밀원(蜜源)으로 하는 꿀
· 사양벌꿀 :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설탕을 먹여 저장·생산한 꿀

   「식품등의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99호)」 개정(2017.12.6.)에 따라 사양벌꿀 제품은 주표시면에 “이 제품은 꿀벌을 기르는 과정에서 꿀벌이 설탕을 먹고 저장하여 생산한 사양벌꿀입니다”를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해당 고시 시행일(2020.1.1.) 전에 제조·가공 또는 수입된 제품은 유통기한까지 종전 규정에 따라 판매 가능하므로 제품 구입 시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업체에 ▲벌꿀의 품질·안전관리 및 사양벌꿀 관련 표시사항 개선을 권고하였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1세 미만 영아의 벌꿀 섭취금지 표시 의무화 및 사양벌꿀 표시에 대한 소비자 홍보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팀장 김제란(☎ 043-880-584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부장 이송은(☎ 043-880-5842)

 

파일 171227_벌꿀 안전실태_보도자료.pdf171227_벌꿀 안전실태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69 페이지 1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52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67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73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76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139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43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식품미생물팀 2025.05.21 234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184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5.07 357
1360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하게 사용해요! hot 위해예방팀 2025.04.17 30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