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180903-180907)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1444 |
게시일 | 2018.09.10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EU 의회 (유럽) |
인터넷시장위원회에서 제품 안전 관련 규정(안)을 승인했음. 크게 첫째, 규정 준수 및 집행과 둘째 상호 인정에 관한 내용임. 첫 번째 규정(안)과 관련하여, 유럽의 시장감시 담당 당국은 500개가 넘기 때문에 EU 차원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당국 간 온라인 제품을 포함한 결함 제품 정보와 진행 중인 조사 내용을 원활하게 공유하게 함. 당국이 조사를 실시하고 법을 집행하는 권한도 강화하며 모든 사업자는 규정 준수 문제와 관련해 연락을 받고 규정 위반 시 피해구제를 담당할 직원을 유럽에 둘 것을 요구함. 두 번째, 상호 인정 원칙은 한 회원국에서 판매를 허가한 상품을 다른 국가에서 판매 금지하지 않도록 요구함. 이 규정이 시행되면 국가 당국과 세관의 제품 안전 점검을 강화하고 무역 장벽을 낮춰 기업이 유럽에서 제품을 수월하게 판매할 수 있게 됨. |
EFSA (유럽) |
새로운 전문가 실무 그룹이 식품포장재인 비스페놀A(BPA) 위해성을 재평가하고 2015년 위해성 평가 시 설정한 임시 안전 수준을 검토할 예정임. 2012년 12월 이후에 발표된 최신 자료를 검토하게 되며 재평가는 내달 시작해 2020년까지 완료하게 됨. |
FSA (영국) |
영국에서 판매되는 냉장 돼지고기와 신선 및 냉동 닭의 항생제 내성균 조사 결과를 발표했음. 살모넬라, 캄필로박터 등 검사 대상 박테리아 전체에서 항생제 내성균이 일부 발견되었지만 육즙이 흐르지 않을 때까지 철저히 익혀 먹으면 항생제 내성균에 감염될 위험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이번 조사는 식품의 항생제 내성균 오염 정도와 유형을 파악하고자 실시했으며 향후 추가로 조사를 실시할 경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FDA (미국) |
영양 정보에 첨가당은 따로 표시하도록 규정을 개정하고자 함. 내년 초에 최종 가이드를 발표하고 2020년 1월에 시행됨. 이전에는 과일이나 채소 등 자연 발생 당인지 설탕 등 첨가한 당인지 구분하지 않고 총 그램 수만 표시했다면 바뀐 제도에서는 첨가한 당을 명시하도록 되어 있음. 한편 설탕, 메이플 시럽, 꿀 제품에 첨가당을 명시할 경우 소비자가 콘시럽 등 다른 재료를 추가했다고 오해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표시를 하게 함. 2015~2020년 미국인 식단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일일 칼로리 한도를 유지하면서 첨가당이 총 칼로리의 10%를 넘으면 균형이 잡힌 식단이라고 보기 어려움. |
EWG (미국) |
취약군인 어린이와 근로자를 납으로부터 보호하는 법안 5개를 마련했으며 4개 법안이 캘리포니아주 의회와 상원을 통과했음.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AB 2370 : 인가를 받은 어린이집은 수돗물 납 검사 실시 요구. 검출되는 납 농도가 높으면 식수로 수돗물 외 다른 대책을 마련. 학부모에게 납 위험과 시험 결과 정보 제공 ▲ AB 2122 : 어린이 대상 혈중 납 농도 시험 실시 ▲ SB 1041 : 어린이 혈중 납 농도 시험 시행률 공표 및 의사들에게 해당 주의 납 농도 시험 기준 통보 ▲ SB 1097 : 어린이 혈중 납 농도 시험 국가 평균, 노출율, 납중독 사고 원인 및 원인 제거 결과 공표 ▲ AB 2963 : 공공보건부는 근로자의 혈중 납농도가 높다고 보고받을 경우 캘리포니아직업안전보건부에 보고해 3일 내에 조사를 시작하고 6개월 내에 조사를 완료. |
Consumers Union (미국) |
코에 분사하는 독감 백신 FluMist Quadrivalent가 있음. 2015~2016년에는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독감 예방 의약품 목록에 있는 제품이었지만 미국소아과학회는 해당 약품의 예방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며 분사 약품보다는 독감 주사를 권하며 바늘 공포증이 있는 어린이에게 대안으로만 사용할 것을 권함. |
Consumers Union (미국) |
대마에서 추출한 화합물인 카나비디올(cannabidiol, CBD)은 시판되는 제품이 많고 품질 또한 다양해 구입 시 잘 알아보고 구입해야 함. 카나비디올이 특히 간질, 다발성 경화증, 통증, 불안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은 효능이 입증되지 않았음. 카나비디올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함 ▲ 의사에게 알려라 : 보통대체의학 요법을 하면 비난을 받을까 염려해 의사에게 알리지 않음. 의사가 환자에게 적합한 최선의 치료 방법을 찾고 또 있을지 모르는 부작용이나 약의 상호작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복용하는 약품과 보조제를 전부 알려야 함 ▲ 약끼리 상호작용 증상이 있는지 관찰하라 : 카나비디올이 일부 약의 효능을 약화시키고 특히 고용량으로 복용할 경우 부작용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카나비노이드는 인지 및 학습, 기억 상실 등 장기 부작용을 끼칠 수 있는 THC 성분이 들어 있을 수 있으므로 카나비노이드 말고 카나비디올만 들은 제품을 찾을 것 ▲ 처방약 대신 복용하지 말고 보조 수단으로만 사용하라 ▲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은 특히 조심할 것. 카나비디올은 중독이나 부작용 위험이 거의 없거나 약한 것으로 알려져있으나 임신이나 수유 중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희박함 ▲ 소량으로 시작해 조금씩 양을 늘려라. |
Consumers Union (미국) |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행동 6가지를 소개함 ▲ 쇼핑백 재사용 : 천으로 만든 에코백은 박테리아의 온상일 수 있음. 육즙이 떨어져 다른 식품의 표면이나 가방이 오염될 수 있음 → 세탁기 온수 모드에서 자주 세탁. 고기는 1회용 봉지에 싸서 밀봉한 다음 가방에 넣거나 고기, 해산물용 가방을 따로 정해둠 ▲ 고기, 해산물은 육즙이 흐르지 않도록 용기나 봉지에 밀봉해 제일 하단에 보관. 냉장고에 육즙이 흘렀을 경우 즉시 닦고 최소 한 달에 한 번은 냉장고를 청소 ▲ 요리를 시작하기 전에 손을 씻고 과정을 바꿀 때마다 손을 씻어야 함 ▲ 요리 중에 핸드폰이나 태블릿 PC 보기 → 조리 중에는 핸드폰을 만지지 않는게 최선이지만 조리법을 참고하는 등의 이유로 그럴 수 없다면 직후에 손을 씻을 것 ▲ 냉장고 온도 확인 → 정기적으로 냉장고 온도를 확인해야 함. 이상적인 온도는 냉장고는 3도, 냉동고는 영하 18도임 ▲ 고양이 등 애완동물이 있으면 주방 아일랜드나 상판에는 음식을 두지 말고 주방에는 애완동물을 들이지 말 것. 그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조리 전에 주방 상판을 깨끗이 닦고 시작할 것. |
소비자청 (일본) |
개정되는 제조물책임법을 설명함. 일부 규정을 제외하고 2020년 4월 1일부터 시행함. |
국민생활센터 (일본) |
젤 네일을 하면서 LED 조명을 사용한 후 손톱에 화상을 입었다며 도달 온도 문의 의뢰를 받고 실시한 실험 결과를 소개함. 젤 메니큐어에 LED 램프가 포함된 제품이었음. 실험 결과 네일 칩에 매니큐어를 두껍게 바르고 램프를 쬐자 9초 후에 네일 칩 뒷면 온도가 60~65℃에 달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었음. 제품에 주의문구가 없어 사업자에 화상에 대한 주의 표시를 추가하라고 요청했으며 사업자가 판매 사이트에 주의 문구를 추가한 것을 확인했음.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30 |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27 | 18 |
1129 |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3 | 55 |
1128 |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1 | 51 |
1127 |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49 |
1126 |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48 |
1125 |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38 |
1124 |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26 | 225 |
1123 |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17 | 217 |
1122 |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26 | 234 |
1121 |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13 | 263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