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어린이 안전뉴스

안전정보 어린이 안전뉴스
인쇄하기
어린이안전뉴스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확대 필요
출처 제품안전팀
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 필요
- 생활화학제품으로 인한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대책 강화해야 -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생활화학제품 관련 어린이 안전사고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예방에 효과적인 어린이보호포장* 대상 품목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 제한되어 있어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만 5세 미만의 어린이가 일정 시간 내 내용물을 꺼내기 어렵게 설계·고안된 포장 및 용기

□ 가정내 생활화학제품 관련 어린이 안전사고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

 최근 3년간(’15년~’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 시스템(CISS)*에 접수된 생활화학제품 관련

연령별 안전사고 발생 현황
연령별 안전사고 발생 현황
만 14세 이하 어린이 안전사고는 총 200건이며, 특히 만 5세 미만 어린이 안전사고가 179건(89.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사고다발 품목은 세정제가 69건(34.5%)으로 가장 많았고, 방향제(31건, 15.5%), 습기제거제(29건, 14.5%), 합성세제(19건, 9.5%) 등의 순이었다.


사고유형은 음용 155건(77.5%), 안구접촉(39건, 19.5%), 피부접촉(4건, 2.0%) 등이었고, 위해부위 및 증상은 소화기계통 장기손상 및 통증(153건, 76.5%), 안구손상(38건, 19.0%), 피부손상(7건, 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 10명 중 6명은 생활화학제품을 스스로 개봉한 경험 있어

 전국 만 3세~만 4세 어린이를 양육중인 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96명(59.2%)은 자녀가 스스로 생활화학제품 용기를 개봉한 경험이 있었다.

 개봉한 생활화학제품은 세제류(32.4%), 접착제류(23.5%), 방향제류(16.6%), 염료·염색류(7.0%) 등이었고, 내용물 형태(제형)는 젤·에멀션형(28.6%),액상형(27.2%), 가루형(17.9%) 등의 순이었다(중복응답).

 
생활화학제품 개봉에 따른 사고현황
생활화학제품 개봉에
따른 사고현황

□ 생활화학제품을 개봉한 어린이 14.2% 안전사고 경험
 
 자녀가 스스로 생활화학제품을 개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부모 296명 중 202명(49.4%)은 단순개봉으로 끝난 반면,
149명(36.4%)의 자녀는 내용물을 쏟는 등 사고위험에 노출됐고, 58명(14.2%)의 자녀는 피부접촉 또는 음용 등으로 가정 내 응급조치나 병원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
 
 응급조치나 병원치료를 유발한 생활화학제품은 방향제류(19건, 32.8%), 세제류(13건, 22.4%), 접착제류(6건, 10.3%) 등이었고, 형태(제형)는 젤·에멀션형(22건, 37.9%), 가루형(18건, 31.0%), 캡슐형(7건, 12.1%) 등이 많았다.
 
 사고유형은 피부접촉이 37건(63.8%)으로 가장 많았고, 흡입·음용(19건, 32.8%), 안구접촉(2건, 3.4%)의 순이었다.
 
사고다발 품목별 내용물 형태(제형)별 사고 유형별
사고다발 품목별 내용물 형태(제형)별 사고 유형별

□ 어린이보호포장 대상 생활화학제품 확대 필요
 
 우리나라는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이하 ‘화학물질등록평가법’) 및 「위해우려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 기준(환경부고시 제2018-12호)」에 따라 세정제, 코팅제, 접착제, 방향제, 부동액 5개 품목에 대해 특정 화학물질이 일정 함량 이상 함유된 액상 제품에만 어린이보호포장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어린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가루·에멀션·젤형 생활화학제품은 어린이보호포장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또한, 캡슐형 합성세제 등 안전사고가 다발하는 제품도 제외되어 있는 등 대상 품목이 한정적이고,「화학물질등록평가법」 외 다른 법률로 관리되고 있는 조리기구·식기 세척제, 자동차 연료첨가제, 착화제 등도 적용대상에서 제외돼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문제점이 있다.
* 조리기구·식기 세척제(「공중위생관리법」), 자동차 연료첨가제(「대기환경보존법」), 착화제(「산업안전보건법」 및 「위험물안전관리법」 )

  반면, 유럽연합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화학물질을 인체 유해성에 따라 분류하고 급성독성, 피부부식성, 특정표적장기독성, 흡인유해성 등을 가진 화학물질이 일정 함량 이상 포함된 모든 소비자제품은 품목 및 내용물의 형태(제형)와 상관없이 어린이보호포장을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안전사고의 사전예방을 위해 우리나라도 어린이보호포장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안전 확보를 위해 환경부 등에 ▲어린이보호포장 대상 생활화학제품의 확대를 요청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가정 내 생활화학제품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어린이보호포장 제품은 사용 후 반드시 다시 밀폐할 것 등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팀장 신국범(☎ 043-880-563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대리 양지숙(☎ 043-880-5635)

 

파일 180226_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_보도자료.pdf180226_생활화학제품 어린이보호포장_보도자료.pdf
작성일 2018.02.27


총 게시물 968 페이지 11 / 97
게시물 검색
어린이안전뉴스 목록
번호 제목 출처 작성일 조회수 파일
868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hot 위해분석팀 2018.07.27 1674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867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hot 제품안전팀 2018.07.23 1363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866 초등학생 사용 리코더 위생상태 불량! 관리강화 필요 hot 제품안전팀 2018.07.19 1464 초등학생 사용 리코더 위생상태 불량! 관리강화 필요
865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 그림 공모전 시상식 개최 hot 위해분석팀 2018.07.12 1271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 그림 공모전 시상식 개최
864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hot 제품안전팀 2018.07.05 1766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863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hot 생활안전팀 2018.06.21 1278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862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hot 위해분석팀 2018.06.01 1239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861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그림 공모전 개최 hot 위해분석팀 2018.04.25 2080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그림 공모전 개최
860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hot 위해분석팀 2018.03.27 1313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859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hot 식의약안전팀 2018.03.16 1265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