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
---|---|---|---|---|---|---|---|---|---|---|---|---|---|---|---|---|---|---|---|---|---|---|---|---|---|---|---|---|---|---|---|---|---|---|---|---|---|---|---|---|---|---|
출처 | 식의약안전팀 |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주의 ·환기 표시 폐지 검토해야- 식품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무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주의·환기 표시가 오히려 사업자의 품질관리 책임을 소홀하게 하거나 위해제품 회수 면책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 주의·환기 표시빈도 높고 알레르기 유발물질 망라해 표시제도 취지 못살려 한국소비자원이 어린이 대상 및 일반 다소비 식품 총 120개 제품*의 알레르기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주의·환기 표시한 제품이 91개(7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중 유통 중인 초콜릿류·우유류·과자류(유탕처리제품)·어린이음료 각 30종 총 120개 제품 특히, 어린이음료 30개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원재료로 사용한 제품은 8개(26.7%)에 불과했으나, 28개(93.3%) 제품은 별도의 주의·환기 표시를 통해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었다. 복숭아·토마토 등 일부 알레르기 유발물질은 대부분의 제품에 주의·환기 표시되어 있어 해당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는 음료를 구입하기 어려워 선택권을 제한할 우려가 있었다. [ 어린이음료(30개 제품) 주의·환기 표시 현황 ]
** 중복집계 □ 주의·환기 표시, 소비자 혼란 초래할 수 있어 폐지 검토 필요 유럽연합(EU)·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 혼입가능성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강제하고 있지는 않으나*, 원재료 표시란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성분이 검출될 경우 제조업체의 원재료·완제품 관리책임을 물어 회수조치를 적극 실시하고 있다. * 사업자 자율 표시 반면, 우리나라는 원재료 표시와는 별도로 혼입 가능성이 있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는데, 주의·환기 표시된 성분이 검출되더라도 위해식품 회수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동 제도가 사업자의 회수 면책 목적으로 오용될 우려가 있다. * ‘위해식품 회수지침’에 따라 표시대상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 회수대상에 해당 또한, 실제 원재료로 사용하지 않은 알레르기 유발물질도 사업자가 자유롭게 주의·환기 표시를 별도로 할 수 있어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소비자는 제품의 원재료 이외 주의·환기 표시까지 확인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식품 알레르기 위해사고, 2년새 약 2배 증가, 영유아·어린이가 상당수 차지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 알레르기 관련 위해사고는 총 1,853건으로, 특히 2017년에는 835건이 접수되어 2015년(419건)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 연도별 위해사고 건수(증감률) : ’15년 419건 → ’16년 599건(43.0%↑) → ’17년 835건(39.4%↑) 특히, 4건 중 1건은 ‘10세 미만’
한국소비자원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자 및 보호자에게 ▲제품 구입 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포함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주의·환기 표시 폐지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방법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다.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
파일 |
![]() |
|||||||||||||||||||||||||||||||||||||||||
작성일 | 2018.03.16 |
번호 | 제목 | 출처 | 작성일 | 조회수 | 파일 |
---|---|---|---|---|---|
868 |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 |
위해분석팀 | 2018.07.27 | 1679 |
![]() |
867 |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 |
제품안전팀 | 2018.07.23 | 1368 |
![]() |
866 |
초등학생 사용 리코더 위생상태 불량! 관리강화 필요
![]() |
제품안전팀 | 2018.07.19 | 1470 |
![]() |
865 |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 그림 공모전 시상식 개최
![]() |
위해분석팀 | 2018.07.12 | 1275 |
![]() |
864 |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 |
제품안전팀 | 2018.07.05 | 1772 |
![]() |
863 |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 |
생활안전팀 | 2018.06.21 | 1282 |
![]() |
862 |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 |
위해분석팀 | 2018.06.01 | 1243 |
![]() |
861 |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그림 공모전 개최
![]() |
위해분석팀 | 2018.04.25 | 2086 |
![]() |
860 |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 |
위해분석팀 | 2018.03.27 | 1317 |
![]() |
859 |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
식의약안전팀 | 2018.03.16 | 1270 |
![]()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