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어린이 안전뉴스

안전정보 어린이 안전뉴스
인쇄하기
어린이안전뉴스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출처 식의약안전팀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 주의 ·환기 표시 폐지 검토해야-

  식품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무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주의·환기 표시가 오히려 사업자의 품질관리 책임을 소홀하게 하거나 위해제품 회수 면책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주의·환기 표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이외에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제품과 사용하지 않은 제품을 같은 제조 과정(작업자, 기구, 제조라인, 원재료보관 등 모든 제조과정)에서 생산하여 불가피하게 혼입 가능성이 있는 경우 주의사항 문구를 표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원재료란에 표시) 주의·환기 표시(별도 표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원재료란에 표시) 주의·환기 표시(별도 표시)

□ 주의·환기 표시빈도 높고 알레르기 유발물질 망라해 표시제도 취지 못살려

 한국소비자원이 어린이 대상 및 일반 다소비 식품 총 120개 제품*의 알레르기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주의·환기 표시한 제품이 91개(7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중 유통 중인 초콜릿류·우유류·과자류(유탕처리제품)·어린이음료 각 30종 총 120개 제품

 특히, 어린이음료 30개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원재료로 사용한 제품은 8개(26.7%)에 불과했으나, 28개(93.3%) 제품은 별도의 주의·환기 표시를 통해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포함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었다. 복숭아·토마토 등 일부 알레르기 유발물질은 대부분의 제품에 주의·환기 표시되어 있어 해당 성분에 알레르기가 있는 어린이는 음료를 구입하기 어려워 선택권을 제한할 우려가 있었다.
 
[ 어린이음료(30개 제품) 주의·환기 표시 현황 ]
 
표시성분 복숭아 토마토 대두 우유 메밀 땅콩 기타* 계**
표시제품 수(개) 26 26 23 22 19 19 14 65 214
표시빈도(%) 86.7 86.7 76.7 73.3 63.3 63.3 46.7 -
* 난류(10건), 아황산류(8건), 호두(8건) 등
** 중복집계


□ 주의·환기 표시, 소비자 혼란 초래할 수 있어 폐지 검토 필요

  유럽연합(EU)·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 혼입가능성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강제하고 있지는 않으나*, 원재료 표시란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성분이 검출될 경우 제조업체의 원재료·완제품 관리책임을 물어 회수조치를 적극 실시하고 있다.
* 사업자 자율 표시

 반면, 우리나라는 원재료 표시와는 별도로 혼입 가능성이 있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해 주의·환기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는데, 주의·환기 표시된 성분이 검출되더라도 위해식품 회수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동 제도가 사업자의 회수 면책 목적으로 오용될 우려가 있다.
 * ‘위해식품 회수지침’에 따라 표시대상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 회수대상에 해당

 또한, 실제 원재료로 사용하지 않은 알레르기 유발물질도 사업자가 자유롭게 주의·환기 표시를 별도로 할 수 있어 품질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소비자는 제품의 원재료 이외 주의·환기 표시까지 확인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 식품 알레르기 위해사고, 2년새 약 2배 증가, 영유아·어린이가 상당수 차지

 최근 3년간(2015년~201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식품 알레르기 관련 위해사고는 총 1,853건으로, 특히 2017년에는 835건이 접수되어 2015년(419건)에 비해 약 2배 증가했다.
* 연도별 위해사고 건수(증감률) : ’15년 419건 → ’16년 599건(43.0%↑) → ’17년 835건(39.4%↑)

 
특히, 4건 중 1건은 ‘10세 미만’
연령별 현황
* 연령 확인이 가능한 1,694건 분석
연령별 현황
영유아·어린이 안전사고인 것으로 확인돼(451건, 26.6%)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부모 이외 돌봄교사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어린이도 알레르기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방법을 개선할 필요도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자 및 보호자에게 ▲제품 구입 시 알레르기 유발물질 포함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는 ▲주의·환기 표시 폐지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방법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다.
 
(예시) "알레르기 유발물질"만 표시 (예시) "알레르기 정보" 명시
(예시) (예시)
한국소비자원 캐릭터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팀장 김제란(☎ 043-880-584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대리 김현준(☎ 043-880-5842)

 

파일 180314_식품 알레르기_보도자료.pdf180314_식품 알레르기_보도자료.pdf
작성일 2018.03.16


총 게시물 968 페이지 11 / 97
게시물 검색
어린이안전뉴스 목록
번호 제목 출처 작성일 조회수 파일
868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hot 위해분석팀 2018.07.27 1679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867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hot 제품안전팀 2018.07.23 1368 실내용 페인트, 피부 과민반응 유발 우려 있어
866 초등학생 사용 리코더 위생상태 불량! 관리강화 필요 hot 제품안전팀 2018.07.19 1470 초등학생 사용 리코더 위생상태 불량! 관리강화 필요
865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 그림 공모전 시상식 개최 hot 위해분석팀 2018.07.12 1275 어린이가 안전한 세상 그림 공모전 시상식 개최
864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hot 제품안전팀 2018.07.05 1772 어린이의 자석 삼킴사고 주의 필요
863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hot 생활안전팀 2018.06.21 1282 스크린야구장, 안전사고 위험 높고 화재에도 취약
862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hot 위해분석팀 2018.06.01 1243 무좀약 등,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사고 주의
861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그림 공모전 개최 hot 위해분석팀 2018.04.25 2086 한국소비자원, 어린이 안전 그림 공모전 개최
860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hot 위해분석팀 2018.03.27 1317 2017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859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hot 식의약안전팀 2018.03.16 1270 식품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제도 개선 필요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