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유형
입학철 학교주변 도로(스쿨존)에서의 교통사고
- 학교 앞 도로에 횡단보도나 가드레일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 학교주변 이면도로에도 일방통행 지정이나 과속방지턱, 속도규제표지판 등 안전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거나 학교주변알림표지판이 주로 학교정문앞이나 담주변에 붙여놓아 운전자들에게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어 역시 위험하다.
학교 안팎의 시설물 안전사고
- 교내에 가스정압시설이나 액화석유가스저장시설 등 위험시설이 설치되어 있거나 학교급식을 위한 식당용 LPG가스통이 불안전하게 방치되어 있는 경우 사고 위험이 높다.
- 돌, 유리조각, 쇠파이프 등이 널려 있거나 바닥에 나무나 돌이 튀어나와 있는 경우, 공사용자재가 널려있는 경우, 심한 요철이나 웅덩이가 파진 곳이 있는 경우 등 운동장 관리상태가 불량하여 어린이가 이용하기에 위험하다.
- 놀이기구가 심하게 부식, 파손되어 날카로운 면, 못이 돌출되어 있거나 각 놀이기구간의 충분한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못하고 놀이기구 바닥에 모래가 깔려 있지 않거나 모래가 깔려 있는 경우도 모래 깊이가 너무 얕아 어린이 추락 시 전혀 완충작용을 할 수 없는 등 놀이기구 관리상태가 불량하여 위험하다.
- 놀이기구에 납이 함유되어 있는 일반페인트를 사용하여 어린이 납중독의 우려가 있다.
- 교실 및 복도창문의 높이가 초등학생의 평균키(8세:130.6cm, 12세:152.9cm)에 비해 지나치게 낮아 학생들이 장난치다가 추락할 위험이 있으나, 이에 대비하여 창문에 추락방지시설을 갖추지 않은 곳이 많아 교실 및 복도창문에서 어린이 추락 위험 있다.
제도 및 인식부족으로 통학버스 교통사고의 빈발
예방수칙
교실
- 교실에 위험한 부분이 있으면 선생님께 알리고 조치를 취한다.
- 교실에서 뛰거나 소리를 지르지 않고 술래잡기나 공놀이를 하지 않는다.
- 책상이나 걸상 위로 걸어 다니지 않는다.
- 칼, 자, 연필, 가위 등 학용품을 가지고 장난치지 않는다.
- 창 밖으로 물건을 던지지 않는다.
- 창가에서 장난치지 말고 창턱에 걸터앉지 않으며 창문으로 고개를 내밀고 장난치지 않는다.
계단, 복도
-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는 뛰거나 장난하지 않고 한 계단씩 앞을 똑바로 보고 오르내린다.
- 계단 안전봉에서 미끄럼을 타지 않는다.
- 복도에서는 절대로 뛰거나 장난치지 않고 복도에서는 안쪽으로 걷는다.
- 복도를 통행할 때에는 교실에서 나오는 사람을 살피며 걷는다.
- 복도에서는 여럿이 늘어서서 걷지 않는다.
- 복도에서는 미끄럼을 타거나 신발을 끌고 다니지 않는다.
운동장, 체육시간
- 축구나 야구와 같은 공운동은 다른 친구들이 놀고 있는 곳에서는 하지 않는다.
- 운동장에서는 위험한 놀이를 하지 않는다.
- 운동 기구를 운반할 때에는 여러 명이 안전하게 운반한다.
- 운동기구가 파손되어 위험한 부분이 생기면 바로 선생님께 알린다.
- 운동기구로 장난치지 않는다.
- 운동하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한다.
- 체육시간에 몸이 불편하면 미리 선생님께 이야기 한다.
- 운동장의 놀이기구는 올바른 이용법으로 안전사고에 유의 한다.
등, 하교시
- 우산, 신발주머니 등 손에 든 물건을 휘두르거나 던지지 않는다.
- 공사장 근처는 피해 다니고 안전한 길로 다닌다.
- 정해진 길로 다닌다.
- 길에서 장난하지 않고 주위를 살피며 걷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