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실·화장실은 물기와 바닥 재질로 인해 미끄럽다. 특히 노인은 다리와 허리가 약해 옷을 벗은 상태에서 미끄러지면 크게 다친다. 욕실의 깔판·매트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돼 있는 제품을 고른다. 미끄럼 방지 처리가 안 된 제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안전하다.
욕실·화장실 내부는 정리 정돈을 잘해 뾰족한 모서리나 날카로운 물건 등을 없앤다. 노인이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욕실 내부에 놓인 물건에 부딪혀서 다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욕조 이용시 노인이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한다. 욕조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설치하면 노인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져서 다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화장실이 가까운 방에 노인이 거주하는 것이 좋다. 야간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침실에서 욕실까지의 통로에는 장애물이 될 만한 물건은 두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미끄러져서 쓰러지는 등의 긴급 상황 발생시에 대비해 가족 등 타인에게 알릴 수 있는 비상벨을 욕실에 설치한다. 노인의 출입이 잦은 화장실·욕실 입구에는 턱이나 계단이 없어야 걸려서 넘어지는 사고를 줄일 수 있다. 주택개·보수를 통해서 위험 요인을 없앤다. 스위치는 어둠 속에서도 찾기 쉽도록 출입구 바깥에 설치한다.
시력이 저하된 노인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계단 디딤판과 가장자리가 확연히 보이도록 밝은 전등을 끼운다. 계단이 어두우면 발을 헛디디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것을 설치한다. 2층에 노인이 사는 주택은 계단에 설치된 전등을 계단의 위와 아래 양쪽에서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도록 한다.
시력이 저하된 노인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계단 디딤판과 가장자리가 확연히 보이도록 밝은 전등을 끼운다. 계단이 어두우면 발을 헛디디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것을 설치한다. 2층에 노인이 사는 주택은 계단에 설치된 전등을 계단의 위와 아래 양쪽에서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도록 한다.
계단을 만들 때는 디딤판 앞쪽이 더 나와 있는 계단코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계단코가 있는 계단은 이를 없애도록 한다. 운동 신경이 둔하고 발을 들어올리기 힘든 노인들은 계단코에 걸려서 넘어진다. 주택 건축시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은 계단의 높이를 16cm 이하, 너비를 32cm이상으로 시공하는 것이 안전하다.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부엌에는 가스 누출 경보기나 화재경보기를 설치해 경고 신호를 어디서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가스레인지나 곤로 근처에 타월걸이나 커튼이 있으면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커튼을 떼어낸다. 선반이나 싱크대 등의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안정적인 받침대를 준비해 쓰는 것이 좋다. 사용하기 전에는 받침대가 안정적으로 놓여 있는지를 확인한다.
가스레인지, 곤로, 싱크대 등 음식을 조리하거나 칼을 사용하는 곳은 조명은 밝게 한다. 부엌은 바닥에 물기가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 마감 재료로 마감하도록 한다. 불가피하면 부엌에 마른 걸레를 두고 수시로 물기를 닦는다. 부엌의 전선과 전기 제품은 싱크대나 열이 발생하는 곳에서부터 일정 거리를 둔다. 전기 제품이나 전선은 물이 묻으면 쇼크나 감전 사고를 일으키고 열에 의해 전선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노인의 잠자리는 전등 스위치 가까운 곳으로 한다. 스위치가 잠자리 가깝게 있어야 야간에 화장실 등을 갈 때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사고를 막는다. 화재 예방을 위하여 이부자리나 침대 근처에는 라이터·재떨이 등을 두지 않는다. 전기담요를 사용할 때에는 위쪽에 다른 이불이나 방석 등을 올려놓지 않는다. 전기담요를 접거나 담요 위에 이불을 덮어 두면 과도한 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전화를 걸거나 잠을 자다가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전화기를 잠자리 가까이 둔다.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