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유형
- 옷차림이 가벼워지는 만큼 살을 빼고자하는 의욕이 앞서 무리하게 운동하다가 헬스기구에 상처를 입거나 근육에 이상이 오거나 인대가 늘어나는 등의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 기온이 높은 철에는 무리하게 운동하다 심장 마비로 숨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 가정에서 헬스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어린이가 접근하여 다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주요 유형으로는 ①어른의 운동기구 이용 시 주변 어린이가 다친 사고 ②어린이가 운동기구에서 놀다가 다친 사고 ③운동기구가 잘못 보관되어 다친 사고 ④어린이가 헬스장 등에 어른을 따라 갔다가 다친 사고 ⑤운동기구 작동 중에 수리하는 과정에서 다친 사고 등이다.
예방수칙
- 연령과 몸의 상태에 맞는 운동기구를 선택하여 적정한 강도로 운동해야 한다. 전문 트레이너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 여름철에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35살 이상이나 집안에 심혈관계 질환이 있었던 사람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한 뒤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 가정에서 헬스기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
- 헬스기구를 구입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가 있는 가정은 실내운동기구(헬스기구)의 구조, 모양이 어린이에게 안전하게 제작되어 있는지 확인 하며, 한글로 표기된 제품 사용설명서를 교부 받아 사용설명서와 제품자체에 표시된 주의사항 및 경고 내용을 충분히 숙지한 이후에 설치, 이용토록 해야 한다.
- 헬스기구로 운동을 할 때는 어린이가 운동기구에 접근할 수 없는 장소와 시간대를 선택 하거나, 운동기구 주변에 간이 울타리를 설치한 후에 운동을 하도록 한다.
- 헬스기구를 보관할 때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며, 접어서 보관하는 운동기구는 접혀진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하여 접혀진 것이 풀림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